과학적 개념
슬라이드와 리딩자료 Wednesday, April 9, 2025
11:59 PM까지 연구설계 초안 제출
리딩 자료
필수 자료
- 연구방법론, 제3장 과학적 개념, pp. 115-151.
권장 자료
슬라이드
강의 슬라이드는 HTML 파일 형태로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슬라이드를 인터랙티브 웹사이트 형식 또는 정적 PDF 형식으로 열 수
있습니다 (인쇄하거나 저장할 때 유용합니다). 슬라이드를 직접 클릭한 후, 키보드의
왼쪽과 오른쪽 화살표 키로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개념화(Conceptualization)
모형을 만들고 나서 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바로 검증이다. 과학적 지식은 설명,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설명은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현상을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법칙의 한 사례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학적 지식의 제1특성이 객관적 동의를 의미하는 상호주관성이라면, 과학적 지식의 제2특징은 바로 검증가능성이다. 검증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용어가 구체적이어야 한다. 검증을 통해 우리는 잠정적으로 설정한 독립변인들이 현상과 인과관계를 찾는지 추론(inference)해볼 필요가 있다. 추론은 그 설정한 요인이 ①변하고, 또한 현상과 원인이 ②같이 변하고, 원인이 결과보다 선행하는 ③순차적 여부를 확인함으로써(항상적 연계) 가능하다.
단정적 법칙: A \(\rightarrow\) B이다.
가설: A \(\rightarrow\) B일 것이다.
통칙: A \(\rightarrow\) B할 가능성이 높다.
개념(concept): 용어(term)를 검증 가능하도록 구체적 정의
서울 지역의 경우, 경제적 배경에 따라서 정치 신뢰 수준이 달라질 것이다라고 하는 가설이 있다고 하자.
성립선행조건: 서울 지역
경제적 배경: 설명변인
정치 신뢰 수준: 종속변인
- 사전적 정의는 “정치체계의 구성원들이 정치체계의 산출물이 자기 자신의 이익과 얼마나 조응하는가에 따라서 내리는 주관적 평가의 정도” \(\rightarrow\) 이것을 어떻게 검증 가능하도록 바꾸는가?
개념화(Conceptionization)
이론적 정의(theoretical definition): 추상적인 개념을 다른 추상적인 개념들로 풀어서 서술하는 작업
조작 정의(operational definition); 실측이 가능한 경험적 지표로 바꾸는 작업
- 조작정의의 추상성 \(\downarrow\) \(\rightarrow\) 실측성 \(\uparrow\)
- 교량의 원리(Bridge principle): 이론적 시각과 경험적 세계는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개념은 그릇(data container), 이론적 용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의 그림을 살펴보자.
우리는 이 그림을 통해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만약 캔커피라는 것을 만들고자 할 때,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A, B, C에 들어가 있는 것들의 ’양’이 아니라 그것이 캔커피라는 것을 만들 수 있는 요소들인지, 속성을 알아야 한다. 캔커피 브랜드는 다양하게 있겠지만 사실 그것들은 뭉뚱그려 전부 캔커피다. 우리가 보는 것도 그와 같다. 우리가 생산하는 과학적 지식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만약 무엇이 담길지 안다면, 우리의 선택은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그릇에 무엇을 담았는지 표지를 만드는 작업이 바로 개념화이다.
우리가 과학적 지식을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누가 보더라도 그 개념이 내재하는 의미가 통칭되며 대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그 개념과 관련된 구체적 사례들로부터 공통 요소들을 뽑아내야 한다. 예를 들어, 경제발전을 살펴볼 때, 다시 한 번 위의 그림을 활용한다면, A, B, C는 각각 오만, 리비아, 사우디이다. 우리는 오만의 경제발전, 리비아의 경제발전, 사우디의 경제발전 이 모두를 아우르는 경제발전과 관련된 보편적 속성-공통적인 속성을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는 두 단계의 정의 절차가 필요하다. 첫째는 개별 대상들이 지닌 특성 주에 공통적인 것을 찾아내는 것이다. 이를 개념정의의 작업, 이론적 정의의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사례에서는 경제발전의 정의가 시도되어야 한다. 이때 공통적 요소를 추출하는 것은 연구자의 소관이나 분명한 이론적 근거와 다른 연구자들에게도 인정받을 수 있는 상호주관성을 획득해야 한다. 둘째, 우리는 경험적으로 검증가능한 지표로 대체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개념을 통해 측정된 지표, 측정지표는 내가 알고자 하는 현상을 알게끔 만들어주는 것이다. 우리가 만드는 지표가 잘못 만들어진다면 결과는 체계적으로 왜곡된 것에 불과하다. 또한 지표라고 할지라도 무분별하게 써서는 안 된다. 결국 개념화가 잘 이루어져야 연구 수행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퀴즈: “4주차 중 연구방법론, 제2장 인과관계와 인과모형에서 출제”
오늘의 강의 목표
모형은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리고 모형을 설계할 때, 우리는 이론의 구성개념을 경험적 지칭성을 가진 작동 변인으로 바꾸고, 이론이 제시하고 있는 개념들 사이의 개략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인과경로로 표현한다.
따라서 개념을 명확하게 구축하지 않고는 이론이나 모형을 제대로 만들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