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 0:00:00
Notes for current slide
Notes for next slide

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정치학연구방법론

강원대학교

1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과학(Science)

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과학(Science): 경험적 현상(empirical phenomenon)의 생성경로에 관한 지식을 생간하는 데 사용되는 일단의 분석 규준(analytic canons)

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과학(Science): 경험적 현상(empirical phenomenon)의 생성경로에 관한 지식을 생간하는 데 사용되는 일단의 분석 규준(analytic canons)

  • 생성경로란 어떻게 그러한 현상이 나타났는가(what causes?) 그리고 그러한 현상이 다른 결과를 야기하는가(does it cause?)의 문제라고 할 수 있음.

  • 이때, 과학이란 지식 그 자체가 아니라 지식을 만들기 위한 논리적 기제(logical instrument)를 의미함.

  • 따라서 우리에게 지식이란 과학적인 지식이냐 과학적이지 않은 지식이냐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지, 어떤 과학이냐의 문제는 아님.

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연구방법론

3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연구방법론: 이러한 분석규준을 연구대상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절차와 방법(procedures and methods)을 포괄적으로 지칭함.

3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연구방법론: 이러한 분석규준을 연구대상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절차와 방법(procedures and methods)을 포괄적으로 지칭함.

  • 과학적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 일정한 분석규준을 연구대상에 적용하는 방법과 그러한 방법을 정당화하는 과학철학적 협약을 연구방법론이라고 함.

  • 과학사회 속에서 타당성이 인증된 연구방법론에 따라 생산된 지식은 과학적 지식의 칭호를 얻게 됨.

  • 정치학에서 특정한 연구방법론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생산된 지식은 정치현상에 관한 논리적이자 체계적인 과학적 지식, '정치과학적 지식'(knowledge of political science)가 된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방법'(methods)과 '방법론'(methodology)은 엄연히 다른 개념임: 방법 방법론.

3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유리스틱(heuristic)

특정한 과학체계 혹은 연구 프로그램(research program) 내에서 적실성과 정당성이 광범위하게 인증된 분석규준과 절차, 혹은 "강력한 문제풀이 기제"(a powerful problem-solving machinery)

  • 간단히 이야기하면, 특정한 방법론 내에서 합의된, '마땅히 그렇게 해야하는 절차'를 유리스틱이라고 함(김웅진 2010, 2; Lakatos 1986, 4-6).

  • 반대로 이야기하면, 서로 다른 과학체계와 연구 프로그램들 간에는 서로 다른 방법론적 합의가 존재할 수 있음.

    • 서로 다른 유리스틱을 가지고 동일한 문제를 풀고자 할 수도 있음.
4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유리스틱(heuristic)

서로 다른 유리스틱 간에 객관적으로 어떤 것이 더 우위에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움.

5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유리스틱(heuristic)

서로 다른 유리스틱 간에 객관적으로 어떤 것이 더 우위에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움.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자가 따르는 연구 전통의 유리스틱을 '충실히 수용하려는 인지습성'(habits of mind)가 존재함.

  • 이러한 인지습성의 확산은 강한 과학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여기서 강한 과학이란 높은 수준의 '과학성'과 같은 위계의 문제가 아니라 얼마나 다수의 지지자와 추종자를 성공적으로 확보하여 그 위상을 구축하였는가의 문제임.

5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유리스틱(heuristic)

유리스틱은 과학의 위상을 강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동시에 갇힌 것으로 만들 수 있음.

  • "이미 형태가 갖추어진 딱딱한 상자"(the performed and relatively inflexible box) (김웅진 2010, 9)

  • "유리스틱에 대한 맹목적 신조를 격파할 때, 연구대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이 허용" (김웅진 2010, 2)

  •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인식(Kuhn 1997, 235)이 의도적으로 격려되어야 하며, 그러한 창조적 회의만이 과학적 교조를 타파할 수 있다." (김웅진 2010, 17)

6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7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사회'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은 정치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 현재의 불문율이다.
박나라 (2020, 190)

7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사회'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은 정치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 현재의 불문율이다.
박나라 (2020, 190)

하지만 이러한 과학의 목적을 달성하는 길이 단 하나인 것은 아니다.

7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사회'과학'으로서의 정치학은 정치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 현재의 불문율이다.
박나라 (2020, 190)

하지만 이러한 과학의 목적을 달성하는 길이 단 하나인 것은 아니다.

  • 수치로 대상을 계량화하는 양적-연역적 패러다임(quantitative-deductive paradigm) 이외에도 질적-귀납적 패러다임(qualitative-inductive paradigm) 역시 존재 (박나라 2020 참조)

  • 존재론, 가치론, 인식론, 방법론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여러 '과학들'이 공존하고 있음.

7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과학의 첫 번째 목적은 경험적 현상의 설명(explanation)

  • 개별적 사건이 이론의 구체적 표출사례라는 것을 규명하는 작업

  • 연구대상으로 주어진 개별적 사건이 이론의 한 구체적 사례라는 것을 연역적으로 논증하는 작업

  • 이러한 연역적 논증 작업 속에서 우리는 '이론'(theory)을 구축하게 됨.

    • 이론이란 어떤 현상이 일정한 원인과 조건에 따라 반복적ㆍ규칙적으로 발생한다는 인과형 진술(causal statement)
8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과학의 두 번째 목적은 경험적 현상의 예측(prediction)

  • 이론이 상정하고 있는 원인과 조건이 관측될 때 그로 인한 현상이 곧 발생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음.
9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의 목적

과학의 두 번째 목적은 경험적 현상의 예측(prediction)

  • 이론이 상정하고 있는 원인과 조건이 관측될 때 그로 인한 현상이 곧 발생할 것이라 기대할 수 있음.

과학의 세 번째 목적은 경험적 현상의 정확한 서술(description)

  • 연구대상의 표출양상과 속성은 체계적으로 추적 제시하는 작업

  • 어떤 과학적 시각을 견지하느냐에 따라 사용되는 매체(media)가 달라질 수 있음.

  • 경험과학적 시각은 보편적 감각경험(sensory experiences)을 전달할 수 있는 실증지표(empirical indicators), 계량적 지표를 사용

9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경험과학(empirical science)의 기본전제

실존세계는 인간의 감각경험과 그에 입각한 논리적 추론을 통해 그 모습이 밝혀질 수 있다.

모든 현상은 일정한 인과적 질서(causal order)에 따라 생성되며, 과학의 목표는 그러한 질서를 추적하는 것이다.

과학적 지식은 상대적이며 역동적이다. 실존 세계는 늘 변화하기 때문에 최종적, 단정적 지식은 존재할 수 없다.

10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객관성과 상호주관성

과학적 지식의 첫 번째 특성은 객관성(objectivity)

  • 과연 지식생산과정에서 연구자들의 고유한 주관적 인식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느냐에 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왔음.

  • 혹자는 가치중립(value neutrality)의 논리는 완전한 허구로서 이념적 편견을 감추기 위한 구호에 불가능하다고 비판하기도 함.

    • 과연 인간이 몰가치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까? 가치가 완전히 중립적인, 혹은 배제된 상태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11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객관성과 상호주관성

과학적 지식의 첫 번째 특성은 객관성(objectivity)

경험과학연구에 있어서의 객관성은 우리가 일반적으로(혹은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객관성과는 조금 다름.

1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객관성과 상호주관성

과학적 지식의 첫 번째 특성은 객관성(objectivity)

경험과학연구에 있어서의 객관성은 우리가 일반적으로(혹은 추상적으로) 생각하는 객관성과는 조금 다름. 이때의 객관성은 지식 자체의 객관성이 아니라 도구적 객관성(instrumental objectivity)을 지칭

  • 어떤 과학적 지식을 객관적 지식이라 부르는 이유는 지식을 생산해낸 방법의 논리가 객관적이라고 보기 때문

  • 경험과학에서는 실제 연구에 필요한 하나의 기준으로서 객관성을 상호주관성으로 대체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 공통적 주관 또는 주관적 인식의 일치상태
12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합의성과 개방성

어떤 지식이 타당하다고 합의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 지식을 과학적이라고 함.

  • 이러한 합의는 모든 과학적 지식은 변화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상대주의적 입장(relativism)을 반영

  • 그렇다면 왜 한때 과학적이라 칭송받던 이론은 현재에 이르러 비과학적 서술의 틀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13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합의성과 개방성

어떤 지식이 타당하다고 합의했기 때문에 우리는 그 지식을 과학적이라고 함.

  • 이러한 합의는 모든 과학적 지식은 변화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상대주의적 입장(relativism)을 반영

  • 그렇다면 왜 한때 과학적이라 칭송받던 이론은 현재에 이르러 비과학적 서술의 틀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 타당하다고 합의된 방법을 통해 지식을 생산하기 때문에, 우리는 객관적 실존(objective reality)과 합의된 실존(agreed reality)을 구별해야 함.

    • 방법론에 대한 합의가 바뀌면 어떤 지식이 지닌 과학적 위상도 바뀔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모든 과학적 지식은 방법론적 상대성을 탈피할 수 없음.
13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검증가능성과 반증가능성

진정한 과학적 지식은 검증가능성(testability) 또는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을 가짐; 과학적 지식은 쉽게 부서짐(부서져야 함).

14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검증가능성과 반증가능성

진정한 과학적 지식은 검증가능성(testability) 또는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을 가짐; 과학적 지식은 쉽게 부서짐(부서져야 함).

  • 기존의 과학적 지식이 유지될 수 없는 반증사례들이 축적되거나

  • 논리적으로 기존 이론의 오류가 발견되어 반증되었을 때

14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검증가능성과 반증가능성

진정한 과학적 지식은 검증가능성(testability) 또는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을 가짐; 과학적 지식은 쉽게 부서짐(부서져야 함).

  • 기존의 과학적 지식이 유지될 수 없는 반증사례들이 축적되거나

  • 논리적으로 기존 이론의 오류가 발견되어 반증되었을 때

과학적 지식은 언제든지 깨어지고, 수정되며, 다시 만들어질 수 있음.

14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검증가능성과 반증가능성

진정한 과학적 지식은 검증가능성(testability) 또는 반증가능성(falsifiability)을 가짐; 과학적 지식은 쉽게 부서짐(부서져야 함).

  • 기존의 과학적 지식이 유지될 수 없는 반증사례들이 축적되거나

  • 논리적으로 기존 이론의 오류가 발견되어 반증되었을 때

과학적 지식은 언제든지 깨어지고, 수정되며, 다시 만들어질 수 있음. 이러한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 지식은 과학적이지 않음.

14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적 지식의 특성

축적성과 통합성

과학적 지식은 이론의 형태를 취함.

  • 이론의 구성단위는 개념이며, 같은 개념을 포함한 이론들은 연결될 수 있음.

  • 과학적 이론은 개념의 호환성에 따라 서로 연결되어 이론망(theoretical web)을 짜게 되고, 이렇게 개별적 지식들이 통합 축적되어 지식의 확장이 달성됨.

  • 새로운 정보를 얻는다면 기존 이론들은 새로운 요인들을 포함한 새로운 이론, 보다 포괄적이며 세련된 이론으로 통합될 수 있음.

15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연구방법론은 크게 (1) 이론 구축을 위한 자료 획득 및 분석 방법과 (2) 그러한 방법을 정당화하는 과학철학적 협약으로 구성

16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연구방법론은 크게 (1) 이론 구축을 위한 자료 획득 및 분석 방법과 (2) 그러한 방법을 정당화하는 과학철학적 협약으로 구성

즉, 연구방법론은 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들을 합의하고, 그 합의 사항들을 어떻게 약속하고 있는지를 알고 있는 것에서 시작

16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과학철학적 규준과 논리

연구방법론은 연구대상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총체적 분석구도(framework of analysis)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핵심사안에 관련된 과학철학적 규준에 기반을 두고 있음.

17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과학철학적 규준과 논리

연구방법론은 연구대상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총체적 분석구도(framework of analysis)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핵심사안에 관련된 과학철학적 규준에 기반을 두고 있음.

설명/예측/이론

  • 설명과 예측의 논증구조

  • 이론의 구조, 유형과 도출과정

17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과학철학적 규준과 논리

연구방법론은 연구대상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총체적 분석구도(framework of analysis)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핵심사안에 관련된 과학철학적 규준에 기반을 두고 있음.

인과관계의 추론과 인과모형의 정립

  1. 인과추론(causal inferences): 인과관계를 이론의 형태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작업이 필요한가?

  2. 인과모형의 정립(causal modeling): 인과관계를 추적하기 위한 분석모형(analytic model)을 만드는 과정에서 관계의 구성단위에 각기 독립변인, 종속변인, 간섭변인 등의 위상을 부여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3. 조건과 개입인자의 통제(control): 이론이나 모형이 설명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간적ㆍ공간적 성립선행조건은 어떻게 도출되며, 그 범주를 어떤 수준에서 확정할 것인가?

18 / 21

연구방법론의 구성

과학철학적 규준과 논리

연구방법론은 연구대상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총체적 분석구도(framework of analysis)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핵심사안에 관련된 과학철학적 규준에 기반을 두고 있음.

개념화와 개념정의

과학적 개념이 지녀야 할 요건들은 무엇인가? 개념화(conceptualization)는 어떠한 단계와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가?

자료획득 및 분석방법

분석규준을 연구대상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

  • 관측 측정방법

  • 가설검증방법

  • 연구설계

19 / 21

그래서 연구방법론이란?

"방법론은 애당초 특정한 유형의 문제를 풀기 위해 제안되나, 풀이의 지속적 성공에 힘입어 광범위하게 수용될 경우 역으로 연구문제의 선정을 제어하게 마련" (김웅진 2010, 18)

  • 연구문제가 연구방법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

  • 익숙한 문제만을 반복적으로 푼다면, 문제풀이 방식은 결코 변화하지 않음.

  • 새로운 "왜?"라는 질문을 끊임없이 던지며 문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가 요구됨.

20 / 21

감사합니다!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언제든 연락하세요.

강사 연락처

연락처 박상훈
sh.park.poli@gmail.com
sanghoon-park.com/
영상바이오관 405
21 / 21

연구방법론이란 무엇인가?

과학, 과학적 지식, 그리고 연구방법론(methodology)

2 / 21
Paused

Help

Keyboard shortcuts

, , Pg Up, k Go to previous slide
, , Pg Dn, Space, j Go to next slide
Home Go to first slide
End Go to last slide
Number + Return Go to specific slide
b / m / f Toggle blackout / mirrored / fullscreen mode
c Clone slideshow
p Toggle presenter mode
t Restart the presentation timer
?, h Toggle this help
Esc Back to slideshow